소액결제 정책

소액결제 정책이라는 것은 휴대폰 소액결제를 이용하다 보면 결제대행사인 PG사에서 결제 진행과 동시에 팝업이 뜨며 ‘결제 정책에 따라 고객님의 휴대폰결제가 제한됩니다.’, ‘결제대행사 정책에 의해 서비스 이용이 제한됩니다.’ 같은 문구가 나오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런 문구들을 소액결제 정책이라고 합니다.

핸드폰 소액결제 대행업체는 대행사마다 각각 다른 다양한 정책들이 존재합니다. 휴대폰 미납 요금이 없어도 정책상 불가하다는 메세지가 뜨는 경우도 소액결제 정책에 포함된 내용입니다.

소액결제 정책미납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소액결제 정책 메세지가 나오는 이유, 소액결제 정책의 종류들과 미납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소액결제 정책 이유

미납 이력과 연체중인 경우

제일 대표적인 소액결제 정책 이유 중 하나입니다. 현재 연체중이거나, 연체가 없어도 과거 미납된 이력이 있다면 정책 문구가 나옵니다.

여러대의 휴대폰 소유

한명의 명의로 여러대의 휴대폰을 보유한 경우 PG 결제대행사에서는 605라는 정책 문구를 볼 수 있습니다. 10대의 휴대폰을 사용해도 한명의 명의로 부여된 소액결제 한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1대를 사용해도, 10대를 사용해도 한도는 최대 100만원 입니다.

신규로 개통한 경우

핸드폰을 신규로 개통한 경우 또는 개통한지 3개월 미만인 경우 소액결제 한도가 부여되지 않습니다. 가끔 한도를 조회하면 한도가 부여되어 있지만 소액결제 정책에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한도가 아니기 때문에 모두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고액의 소액결제 시도

평소 소액결제를 하지 않던 사용자가 갑자기 고액의 소액결제를 이용하는 경우 PG사에서는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정책문구를 띄워 결제를 막는 경우가 있습니다.

선불폰 또는 정액제 핸드폰 사용

정액제 요금 또는 선불폰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사용하기 때문에 소액결제 한도가 없습니다. 따라서 소액결제 정책 문구가 나오게 됩니다.

미성년자가 결제하는 경우

소액결제 또는 정보이용료, 콘텐츠이용료는 만 20세 이상의 성년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따라서 미성년자인 경우에는 소액결제 정책 문구가 나오게 됩니다.

상품권 한도가 넘은 경우

각각 한도는 다르지만 보통 월 50만원 정도의 상품권 한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상품권으로 구매한 금액이 50만원이 넘는경우 PG사에서는 소액결제 정책 문구가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정보이용료를 이용하여 상품권을 구매하는 경우에도 소액결제 한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결제대행사의 모니터링

결제대행사 PG사에서는 결제시도를 자주하거나 결제실패가 누적되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해당 번호를 정책에 걸리게 할 수 있습니다. 소액결제 또는 정보이용료, 콘텐츠이용료 현금화를 진행할 때 업체는 신중하게 고민해서 선택해야 합니다.

외국인 명의, 법인 명의 사용

휴대폰 명의가 외국인 또는 법인인 경우에는 소액결제 정책이 걸릴 수 있습니다. 국내 개인 명의를 이용하여 진행하는것이 제일 빠르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소액결제 정책 뚫는법

소액결제 정책미납

소액결제 정책미납은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현재 휴대폰 통신 요금의 미납인 상태로 소액결제를 시도하면 정책문구가 뜨는것을 말합니다. 또한 현재 휴대폰 통신 요금이 미납이 아닌데도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용카드와 마찬가지로 과거의 연체기록 같은 것들이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액결제 정책미납에 걸리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연체와 미납입니다. 소액결제 요금 미납을 얼마나 했는지, 몇 번 했는지에 따라서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소액결제 현금화를 진행하기에 앞서 소액결제 한도를 알아보고 정책미납 상태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소액결제-정책미납

소액결제 정책 우회

다른 방법이 없어서 소액결제 정책미납을 우회하여 소액결제 정책 우회가 가능한지 물어보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수수료가 다른 소액결제 현금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니 신중하게 생각하셔야 합니다.